관리 메뉴

나모를 찾아라

아랍문화 - 공일주 본문

언어/기호/9 لغة عربية (아랍어)

아랍문화 - 공일주

나모찾기 2012. 11. 25. 09:59

한국인과 소통을 위한 아랍 문화

공일주 저 / 세창출판사


아랍 국가(30개)

p.15, 32

  1. 사우디아라비아
  2. 이라크
  3. 요르단
  4. 레바논
  5. 시리아
  6. 팔레스타인
  7. 쿠웨이트
  8. 카타르
  9. 바레인
  10. 오만
  11. 예멘
  12. 아랍에미리트
  13. 이집트
  14. 리비아
  15. 알제리
  16. 튀니지
  17. 모로코
  18. 수단
  19. 남수단
  20. 모리타니
  21. ...

아랍인

p.32

  1. 사우디아라비아(남아시아인 제외)
  2. 이라크(쿠르드인, 아슈르인 제외)
  3. 요르단(시르카시아인, 아르메니아인, 체첸인 제외)
  4. 레바논(아르메니아인 제외)
  5. 시리아(쿠르드, 아르메니아, 시르카시아인 제외)
  6. 팔레스타인(유대인 제외)
  7. 쿠웨이트(이란인, 인도인 제외)
  8. 카타르(동남아시아인 제외)
  9. 바레인(이란, 아프리카, 인도인 제외)
  10. 오만(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인도, 필리핀인 제외)
  11. 예멘(유대인 제외)
  12. 아랍에미리트(50%의 남 아시아인과 이란인 제외)
  13. 이집트(누비아인 제외)
  14. 리비아, 튀니지, 알제리, 모로코(아마지기인(베르베르인) 제외)
아랍, 중동, 이슬람
중동(Middle East): 우리 관점 - 아랍, 터키, 이란, 이슬라엔 등
 1902년 해군 제독 알프레드(Alfred Thayer Manhan) <국제 문제의 페르시아 만(National Revie September 1902, 27-45>글에서 처음 사용
 -> 근동, 레반트, 서 아시아


아랍인이 사용하는 범주 용어

 아랍 세계 - 알알람 알아라비 | 이슬람 세계 - 알알람 알이슬라미

 아랍 움마 - 움마 아라비야 | 이슬람 움마 - 움마 이슬라미야

 보통 아랍(Arab)은 아랍어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 아랍≠무슬림


 어휘- 아랍 연맹, 범아랍주의, 아랍인 (3억 아랍인 중에 5%가 기독교인, 타종교인)


아랍: 언어(아랍어), 인종(아랍인), 지리(아라비아 반도) 등의 범주


용어(Glossary)

라흔(Lahn): 광범위한 언어 변질 과정 p.17

꾸란과 하디스(무함마드 언행록)

푸스하(문학적 아랍어, 7세기의 아랍어)와 암미야(대중 아랍어, 21세기의 아랍어) p.19

   푸스하: 꾸란은 처음 15개의 글자로 기록 -> 꾸란의 최종본 편집 작업 사람들 28개의 아랍어

    꾸란 해석학: 꾸란의 미적 기법과 수사법(발라가)를 알아야 함

베두인(Bedouin) : 사막의 유목민 -> 유목민/산적 : 도시민/베두민 p.24

     일부 아랍인 아라비아 반도의 베두인을 야만인이라고 자녀에게 가르침

       예) 레바논의 어머니->자녀 : "조용히 해, 베두인이 온다("Uskutū.. al-Badawī jā'")

중동 : 앗샤르끄 알아우사뜨(al-sharq al-awsat)

레반트 :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등지



제 2 장 아랍인의 정체성

1. 아랍인의 기질

속임: 강조가 없으면 상대를 의심하거나 말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왈라히"(알라에게 맹세한다) - 자신의 말이 맞다는 것을 강조

 "우끄시무 빌라히"(알라를 두고 맹세한다)

 "쌋딧끄니"(내 말을 믿어주세요)

 동사에 까드(qad)를 접두시키거나 명사 앞에 인나(inna)를 붙이고 동사 끝에 -na, -nna를 접미


아첨 p.65

 "안타 아프달 민니"(네가 나보다 더 낫다)

 "안타 아흐산 민니"(네가 나보다 더 잘한다)


분노

 "자알란"(화가 났다)

2. 아랍인의 에티켓

히잡(얼굴을 남기고 머리 전체를 가린 것)

니깝(눈만 조금 남기고 얼굴 전체와 머리칼을 감춤)


"타팟달"(우리 집에 들어갔다 가시지요)

 

인사말

 인사말: 앗쌀라무 알라이쿰 -> 와알라이쿠뭇 쌀람 (이슬람교인에게만 사용)

 고마움: 알함두릴라(신에게 감사드린다), 슈크란(감사합니다), 티슬라무(이데이키; 여성에게 맛있는 것을 제공받을 때)

 안부: 케이파 하알락?(어떻게 지내시나요?), 케이파 앗싸하?(건강은 어떠세요?)

 칭찬: 바라칼라후 피카(알라의 축복이 함께 하길 빈다) -> 알라이 바아릭픽(알라가 너에게 복을 주시기를 빈다) / 라-이아(아주 잘했어요) / 아흐산트(잘했어요) / 아블레이타 발라안 하사난(잘했다) / 샤뚜르(숙제 잘한 아들에게 하는 말) / 제이드 짓단(잘했어요)

 헤어질 때: 마아 쌀라마(알녕히 가세요) -> 마아 쌀라마 / 일랄리카 / 바이(안녕) / 아라카라-히깐(나중에 만나요)

 재채기 할 때(코) : 함두릴라(본인) / 야르하무쿠물라: 야르하무나 야르하무쿰 인샤알라(심장이 멎었다가 다시 생명이 돌아오기를 바라면서 신이 자비를 베풀어 주기를 기원한다는 의미)

 기침 : 앗싸하 왈아피야(건강하시기를 바란다)

 조의: 앗자말라후 알즈락(신이 이 어려운 시기에 보상을 주시기를 빕니다) -> 샤카라 알라후 싸으야쿰(발자국을 옮길 때 마다 감사하라) / 알바끼야 피 하야탁 / 알바까 피 하야탁(죽은 사람의 나머지 생명이 너에게 보태지기를 바란다; 죽은 자의 가족에게)


 앗쌀라무 알라이쿰: 그대에게 평화가 있기를(직역), 안녕하세요(사회언어학적인 의미를 반영)


호칭과 안부

 하비비(habibi) (남자에게) - 아주 친한 연인 사이에 in 요르단

 하비비(남자에게), 하비바(여자에게) - 상대방과 다툼이 있을 때 상대방의 분노를 식히려고 할 때 in 이집트

 아들 - 왈라, 왈라드 /  이븐(아들)이란 말은 호칭으로 사용하지 않고 이름을 부름 / 제프트(도로에 포장된 재료; 화가 날 때), 호마르(당나귀; 화가 잔뜩 날 때)

 아크(akh; 형제) - 나의 형/동생으로 대접한다는 말

 이브니(ibni; 우리 아들) - 친자식이 안닌데 이 말을 쓰면 애정이 듬뿍 담긴말, 연장자->연하지 친밀감 있게 말할 때, 동년배(농담/비아냥)

 야 왈라드(야 꼬마야) - 길가의 신문팔이 아이를 부를 때

 라우 싸마흐트(law samaht) -  실례합니다

 타팟달(itfaddal) - 앉으세요, 들어 오세요, 먼저 하세요, 그렇게 하십시오, 드십시오

 얄라(yalla) - x1 (갑시다) , x2 (서둘러)

 마알레쉬: 괜찮아, 진정해, 속상해 하지마라


in 요르단, 이집트 등지

 꾸웨이스 : 좋다, 건강하다

 야으니: 내 말뜻은

 마아쉬: 오케이

 슈웨이야: 천천히, 조금

 맙쑤뜨: 기쁘다, 만족한다

 바씨따: 별 것 아니다


 빗싸하 왈아-피야(건강하시기를 바랍니다) in 요르단


싸바할 카이리(아침인사), 마싸알 카이리(저녁인사) - 도시 아랍인

임 싸바한(아침인사), 임 마싸안(저녁인사) - 요르단 유목민


아흘란(어서 오십시오) < 할라, 할라

앗쌀라무 알라이쿰 < 마르하바 -> 마르합테인(두배의 마르하바) in 요르단, 팔레스타인, 레바논, 시리아 등

아흘란 와 싸흘란[외국인이 아랍인을 방문할 때 아랍인이] -> 아흘란 빅(상대가 남자) / 아흘란 비키(상대가 여자)


부크라 인샤알라(내일,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 - "나는 너에게 지금 아무것도 약속해 줄 수 없다"(부정적인 의미)

마알레쉬(별거 나니지) - 약속을 깨고도 전혀 신경을 쓰지 않으면서 하는 말

3. 아랍인의 문화코드

도축문화

 "비스밀라히 앗라흐마니 앗라힘"(가장 자비롭고 자애로운 알라의 이름으로) - 알라의 이름으로 무슨 일을 시작한다

 "비스밀라히 알라후 아크바르"(알라의 이름으로, 알라는 가장 위대하다) - 짐승 도살시

  - 할랄(halal) : 절차를 지키면서 도살한 짐승

  - 하람(haram) :절차를 무시하고 잡은 짐승

 "아드바하"(내가 짐승을 도살한다)


인샤알라 문화

 "인샤알라" (알라가 원하면) - 조건문, 알라가 정해준 운명대로 매사가 된다는 의미

 약속을 안지키려나 보다(외국인) / 내가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I hope; 아랍인)

 미래에 일어날 계획과 사건에 대한 소망을 나타내는 말

   어디에 살건데요? -> 서울이요, 인샤알라 - 미래의 계획을 표현하는 말

 좋은 소식을 듣고 기쁨, 칭찬, 감사 등을 표현

   남학생이 거리에서 예쁜 여성이 지나가는 것을 보았을 때(흉안을 막거나 시기나 질투에서 오는 해악을 막기 위해)

 말하는 사람의 통제에서 벗어난 상황

  내일 바람이 세차게 불 거야. 인샤알라 - 사람이 바람을 통제하기 어렵다

 말하는 사람이 어느정도 통제가 가능할 때

  내일 약속에 늦지 않을께. 인샤알라. - 제시간에 일어나기 위해 미리 준비를 하고.. 통제가 가능하므로

 계획을 변동하기 어려울 때

  나는 사실만을 말하겠다. 인샤알라 - 아무도 그 계획을 변동시키기 어렵다


장례 문화

 끼블라(메카 방향): 카아바의 방향, 메카의 북쪽에서는 남쪽, 나즈드에서는 서쪽 방향


제 3 장 아랍의 지리와 국가 개황

요르단 - 암만
아랍 에미리트 연합 - 아부 다비
바레인 - 마나마(알마나마)
튀니지 - 튀니지(투니스)
알제리 - 알제리(알자자이르)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앗리야드)
시리아 - 다마스쿠스(디마쉬끄)
수단 - 카르툼(알카르뚬)
이라크 - 바그다드
오만 - 무스카트(마스까뜨)
팔레스타인 - 예루살렘(알꾸드스)
카타르 - 도하(앗다우하)
쿠웨이트 - 쿠웨이트(알쿠와이트)
레바논 - 베이루트(바이루트)
리비아 - 타라불루스(따르불스)
이집트 - 카이로(알까히라)
모로코 - 라바트(앗라바뜨)
모리타니 - 누악쇼트(누왁슈뜨)
예멘 - 사나(싼아)

유엔: 인간 개발 지수(2010년)
1. 최고급 수준: 한국(12위), 이스라엘(15위), 카타르(38위), 바레인(39위)
2. 고급 수준: 쿠웨이트(47위), 리비아(53위), 사우디아라비아(55위), 이란(70위), 요르단(82위), 알제리(84위)
3. 중간급 수준: 이집트(101위), 시리아(111위), 모로코(114위)
4. 하급 수준: 예멘(133위), 모리타니(136위), 수단(154위)

1. 마그립 국가

마쉬리끄 / 마그립(해가 지는 곳)

마그립 국가 -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리비아, 모리타니

2. 동북 아프리카 국가

이집트, 수단

3. 비옥한 초승달 지역 국가

레반트(levant; Fr) - 동부 지중해 국가들 - 레바논, 시리아, 팔레스타인 (가끔 요르단, 이라크 포함)

비옥한 초등달(Fertile Crescent) 지역 - 요르단, 이라크를 포함 하기 위해

  레바논, 시리아, 요르단, 이라크, 팔레스타인

4. 아라비아 반도 국가

아라비아 반도 국가(7) -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오만, 아랍 에미리트, 카타르, 바레인, 쿠웨이트

  크게 셋으로 나뉨 - 예멘, 사우디아라비아, 아랍 걸프 국가

걸프 국가(6) -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오만, 아랍 에미리트, 카타르, 바레인, 쿠웨이트

   걸프: '만(灣)'에 해당하는 영어

   반도: 아랍어로 '알자지라'


제 4 장 아랍의 경제

2. 이슬람의 경제 원리

이슬람경제학은 이슬람의 상거래법(피끄흐 무아말라트)에 크게 의존
 지나치게 이자(리바) 금지, 자카(종교 구빈세) 제도의 시행을 강조
  이자 금지: 돈이 돈을 벌어서는 안된다
  자카 제도: 일정량을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

(1)우주에 대한 가설: 제한된 자원
(2)인간에 대한 가설: 제한되지 않은 인간의 욕구
이슬람에서의 희소성 - 욕구와 능력의 갈등에서 온 자연적인 결과 -> 상대적인 희소성
 "인간은 불안해하도록 창조되었다" (수라 70:19)

희소성의 차이
 이슬람: 희소성이 존재하면 자연이 인간에게 선택하도록 한다
 경제학자: 희소성은 비용을 치르지 않고는 획득될 수 없다

아랍어 '딘(dīn)'의 이슬람 개념
 '딘'으로서의 이슬람: 삶의 방식
 아랍어 '딘': 빚을 졌다. 인간이 알라에게 빚을 졌다.
  알아따스(al-atas): 알라에게 빚을 갚는다는 것은 알라는 섬긴다는 것.

이슬람 경제학: 선택이 중요하고 희소성 때문에 인간은 선택을 해야 한다. 원하는 대로 모든 것을 가질 수 없다. 올바른 선택을 위해서 인간을 지식을 쌓아야 한다.
 경제적인 선택을 하는데 유용한 지식에는 두 가지.
 1. 꾸란과 하디스에서 나오는 지식(경제 제도에서 구체화)
 2. 이성과 경험에서 온 지식(경제 이론)